티스토리 뷰

목차



    미중 무역협상 기대심리가 환율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며, 위험자산 선호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미국 경제지표 호조와 무역협상 기대로 달러는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위험자산 선호 분위기가 더욱 뚜렷해졌습니다. 이번 주 동안 위험자산 선호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으며, 미국 경제지표를 주목하며 경계심 있게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미중 무역협상 기대심리가 환율 하락 압력 작용 글의 썸네일 사진

    무역협상을 앞두고 기대심리가 환율 하방압력

    어제 달러/원 환율은 미국 고용 지표 호조로 하락 출발했습니다. 하지만 중국 위안화가 강세를 보였고(미국이 중국 화웨이에 대한 제재 완화 소식), 그 영향으로 종가는 1,159.2원으로 6.4원 하락했습니다. NDF에서는 미중 무역 협상 합의 가능성으로 인해 리스크온 분위기가 지속되었지만, 달러의 소폭 강세로 역외환율은 1,162.3원으로 상승했습니다. 오늘 달러/원 환율은 역외에서 1,160원으로 상승했으나, 글로벌 금융시장 분위기는 더욱 위험 자산 선호가 강화되고 있어 장중에는 다시 1,160원 이내로 하락 압력이 예상됩니다. 중국 역외위안(CNH)도 전일에 이어 7.03위안에서 안정을 보이고 있어 리스크온 분위기가 장중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위험자산 선호는 미중 무역협상 기대 심리가 주요인이라는 점에서 합의가 성사되거나, 결렬되기 전까지 분위기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또한, 현재 시장 분위기에 영향을 준 것 중 하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결정입니다. 전 세계적인 경기 후퇴 우려와 미중 무역협상 전망 등 불확실성이 있었지만, 연준의 금리 인상을 유지하게 되면서 이러한 우려가 완화되고, 현재 리스크온 분위기가 형성되었습니다.

    미 경제지표 호조와 무역협상 낙관론

    전일 미국 달러는 유로화, 영국 파운드화, 일본 엔화 등 모든 통화에 대해 강세를 보이며 0.35% 상승한 97.55pt로 마감했습니다. 이번 주 발표된 미국 고용지표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는 점에서 미국 경제의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미국 경기후퇴 우려는 반감되고, 미중 무역협상 진전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식 등 위험자산 선호가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전일 미 다우지수는 0.42% 상승하여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여주었으며, 안전자산인 국채금리는 6.3bp 상승하여 채권가격은 하락하였습니다. 더 안전한 자산으로 간주되는 일본 엔화는 달러 대비 0.39% 약세를 기록했습니다. 유로의 대표 증시인 독일 DAX 지수도 미국과의 자동차 관세협상이 긍정적으로 진행될 것이라는 기대에 1.35% 상승하여 좋은 실적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식 상승과 채권가격 하락 등을 고려하면 위험자산 선호 (리스크 온) 분위기가 더욱 뚜렷해졌습니다. 이러한 분위기는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주 동안 위험자산 선호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미중 무역협상 기대로 주가 상승과 환율 하락

    글로벌 금융 시장은 미중 무역 협상이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심리 전환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은 오랜기간 끌어온 무역 분쟁 해결로 인한 이익을 노리기 위해 위험 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주식 가격은 상승하고, 채권 가격은 하락하며, 안전 자산 통화인 미국 달러, 일본 엔화, 스위스 프랑 같은 통화는 최근 낮아졌습니다. 국내 주식 시장에서는 코스피 지수가 2,120 포인트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나며, 6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10년 국채 금리는 어제 보다 9.5 베이시스 포인트 상승하여 1.80%로 달성되어 5월말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미중 무역 협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가능성을 믿고 있음을 보여주는 분명한 신호입니다. 앞으로는 미중 무역 협상이 실패하지 않는 한 위험 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계속해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국내 주식 시장, 채권 금리, USD/KRW 환율은 하반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최종 협상 시작까지 리스크 온 센티먼트가 강하게 유지될 것으로 추측됩니다. 그러나 협상이 실패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이러한 추세가 반전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현재 시장 심리는 미중 무역 협상의 성공 가능성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잠재적인 수익을 노리기 위해 위험 자산에 점점 더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